메뉴 건너뛰기

2023.11.16 21:36

질화로/양주동

조회 수 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질화로1)                                                          양 주 동 (梁柱東)

 

 촌가(村家)의 질화로는 가정(家庭)의 한 필수품(必需品), 한 장식품(裝飾品)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정(情), 그들의 사랑의 용로(熔爐)이었다. 되는 대로 만들어진, 흙으로 구운 질화로는, 그 생김생김부터가 그들처럼 단순(單純)하고 순박(淳朴)하건마는, 지그시 누르는 넓적한 불돌 아래, 사뭇 온종일 혹은 밤새도록 저 혼자 불을 지니고 보호(保護)하는 미덥고 덕성(德性)스러운 것이었다. 갑자기 확확 달았다가 이내 식고 마는 요새2)의 문화 화로(文化火爐)와는 무릇 그 본성(本性)이 다른 것이다.

  이 질화로를 두른 정경(情景)은 안방과 사랑이 매우 달랐다.

  안방의 질화로는 비록 방 한 구석에 놓여 있으나, 그 위에 놓인 찌개 그릇은 혹은 ‘에미네’가 ‘남정’을 기다리는 사랑, 혹은 ‘오마니’가 ‘서당아이’를 고대(苦待)하는 정성(精誠)과 함께 언제나 따뜻했다. 토장에 무우를 썰어서 버무린 찌개나마 거기에는 정이 있고, 말없는 이야기가 있고, 글로 표현(表現)하지 못할, 그윽하고 아름답고 정다운 세계가 있었다.

누가 식전(食前)의 방장(方丈)을 말하는가. 누가 수륙(水陸)의 향연(饗宴)을 이르는가. 진실(眞實)로 행복(幸福)된 점에 있어서야, 진실로 참된 정에 있어서야, 우리 옛 마을 집집마다 그 안방에 놓였던 질화로의 찌개만 하랴.

  마을에서 소년은 ‘서당아이’라 불리었다. 혹은 사략(史略) 초권(初卷)을 끼고, 혹은 맹자(孟子)를 들고 서당(書堂)엘 다니기 때문이다. 아잇적, 서당에 다닐 때 붙은 서당아이란 이름은, 장가를 들고 아들을 본 뒤까지도 그냥 남아서, 30이 넘어도 그 부모는 서당아이라고 불렀다.

우리 집 이웃의 늙은 부부(夫婦)는 늦게야 아들 하나를 얻었는데, 자기네가 목불식정(目不識丁)인 것이 철천(徹天)의 한(恨)이 되어서, 아들만은 어떻게 해서든지 글을 시켜 보겠다고, 어려운 살림에도 아들을 서당에 보내고, 노상 ‘우리 서당애’, ‘우리 서당애’ 하며 아들 이야기를 했었다. 그의 집 단간방에 있는 다 깨어진 질화로 위에, 점심 먹으러 돌아오는 예(例)의 서당아이를 기다리는 따뜻한 토장찌개가 놓였음은 무론(毋論)이다.

그 아들이 천자문(千字文)을 읽는데, ‘질그릇 도(陶), 당국 당(唐)’이라 배운 것을 어찌 된 셈인지 ‘꼬끼요 도, 당국 당’이라는 기상천외(奇想天外)의 오독(誤讀)을 하였다. 이것을 들은 늙은 ‘오마니’가, 알지는 못하나마 하도 괴이(怪異)하여 의의(疑義)를 삽(揷)한즉, 영감이 분연(憤然)히,

  “여보 할멈, 알지도 못하면서 공연히 쓸데없는 소리 마소. 글에 별소리가 다 있는데, ‘꼬끼요 도’는 없을라고.”
하였다. 이렇게 단연(斷然)히 서당아이를 변호(辯護)한 것도 바로 질화로의 찌개 그릇을 둘러앉아서였다. 얼마나 인정미(人情美) 넘치는 태고연(太古然)한 풍경(風景)이냐.

  사랑에 놓인 또 하나의 질화로는 이와는 좀 다른 풍경을 보이었다. 머슴, 소배(少輩) 들이 모인 곳이면, 신삼기, 등우리만들기에 질화로를 에워싸 한창 분주(奔走)하지마는, 팔씨름이라도 벌어지는 때에는 쌍방(雙方)이 엎디어 서로 버티는 서슬에 화로를 발로 차 온 방 안에 재를 쏟아 놓기가 일쑤요, 노인들이 모인 곳이면, 고담책(古談冊)보기, 시절(時節) 이야기, 동네 젊은 애들 버릇 없어져 간다는 이야기 들이 이 질화로를 둘러서 일어나는 일이거니와, 노인들의, 입김이 적어서 꺼지기 쉬운 장죽(長竹)은 연해 화로의 불돌 밑을 번갈아 찾아갔었다. 그리하여, 기나긴 겨울 밤은 어느덧 밝을 녘이 되는 것이다.

  돌이켜 우리 집은 어떠했던가? 나도 오륙 세(五六歲) 때에는 서당아이였고, 따라서 질화로 위에는 나를 기다리는 어머니의 찌개 그릇이 있었고, 사랑에서는 밤마다 아버지의 담뱃대 터시는 소리와 고서(古書) 읽으시는 소리가 화로를 둘러 끊임없이 들렸었다. 그러나 내가 다섯 살 되던 해에 그 소리는 사랑에서 그쳤고, 따라서 바깥 화로는 필요가 없어졌고, 하나 남은 안방의 화로 곁에서 어머니는 나에게 대학(大學)을 구수(口授)하시게 되었다.

그러나, 어머니마저 내가 열두 살 되던 해에 그 질화로 옆을 길이 떠나가시었다. 그리하여, 서당아이는 완전한 고아(孤兒)가 되어, 신식(新式) 글을 배우러 옛 마을을 떠나 동서(東西)로 표박(漂泊)하게 되었고, 화로는 또다시 찾을 수 없는 어머니의 사랑과 함께 영영 잃어버리고 말았다.
  질화로의 찌개 그릇과 또 하나 질화로에 깊이 묻히던 장죽, 노변(爐邊)의 추억(追憶)은 이십 년 전이 바로 어제와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31 이용분 2023.12.08 3
7030 Andrea Bocelli, Sarah Brightman - Time To Say Goodbye (HD) 이용분 2023.12.07 4
7029 이별의 노래-/박목월 시, 김성태 곡 -박세원 노래 이용분 2023.12.06 6
7028 수필)문창호지 안에 빨갛고 샛노란 단풍잎을 붙여 넣어서... 이용분 2023.12.06 118
7027 그리운 금강산 이용분 2023.12.04 4
7026 고향의 노래 이용분 2023.12.04 5
7025 靑春이란 人生의 어느 期間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분 2023.12.03 5
7024 초원의 빛이여 / 윌리엄 워즈워스 이용분 2023.12.01 5
7023 수필) 첫 눈 이용분 2023.11.30 4
7022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이용분 2023.11.29 5
7021 수필)겨울에 어름이 살짝 언 동치미국이 땅의 기운과 어우러져서... 이용분 2023.11.27 4
7020 The Four Seasons - Rag Doll (Official Audio) 이용분 2023.11.25 3
7019 풍경) 이용분 2023.11.23 4
7018 수필)두꺼운 유리문 틈 새로 찾아 드는 가을 ... 이용분 2023.11.23 8
7017 티코 이야기 1 이용분 2023.11.20 6
7016 수필)하얀털이 달린 씨앗들을 휘날리면서... 이용분 2023.11.16 9
» 질화로/양주동 이용분 2023.11.16 3
7014 수필을 쓰며 얻는 깨달음 / 정목일 이용분 2023.11.14 9
7013 수필)높은 곳에 남겨진 까치밥에 온갖 새들이... 이용분 2023.11.12 5
7012 시)깊어만 가는 가을 날 이용분 2023.11.11 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4 Next
/ 354